일반적인 안내사항들
커뮤니케이션
- 여러분이 시작하게 되는 협업 프로젝트에서는 지금까지 해왔던 개인 과제, 개인 프로젝트 등과 다르게 사람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주를 이루는 가장 회사와 가까운 내용의 작업을 함께 하시는 것입니다.
- 여러분이 하시는 모든 궁금증에 대해서 서로 마음을 열고 토론하시고, 더 좋은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서 팀 내에서는 협력을 위한 노력들만 하세요.
- 팀 미팅은 최대한 자주 가져주시고, 가급적 슬랙 채널에서 많은 사람들이 보는 곳에서 서로의 책임감을 부여하며 작업을 하시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이 회사에 들어가시게 되어도, 모르는 사람들이 거의 100명 정도씩 있는 각각의 방에 초대되고 일을 하시게 되는데, 그런 부분들도 미리 연습을 하시고, 공개적인 채팅창에서 여러분이 조금 더 활발이 공유하고, 편안한 대화보다 조금 더 정제된 텍스트를 주고 받는 것을 연습 하신다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문서 작성
- 포트폴리오 작성하실 때 주의할 점은 여러분이 겪은 내용들 위주로 자기 자신을 기준으로 작성해주셔야 합니다. 다른 사람들을 위한 글 또는 멘토님 덕분에 해결하게 되었다 등등은 삼가 해주시고, 자기 자신이 어떤 문제를 겪었고 개발자로서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서 여러 문제들을 잘 트러블슈팅하고 해결한 내용에 대해서 자신감 있게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 협업에 있어서 여러분의 회고는 곧 자기 자신의 포트폴리오에 남게되고, 이는 여러분이 들어가고 싶어하는 회사의 현업자 분들께서 가장 반가워하는 주제입니다. 개인 프로젝트나 다른 프로젝트보다 더 강조해주시면 더욱 더 좋고, 이 협업 프로젝트에서 겪었던 모든 내용들은 여러분이 취업하고 나서 어떻게 일할지 예상되는 범위이기 때문에 열심히 작성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일정 관리
- 백엔드에서 ERD 구성 후에 프론트엔드에서 와이어프레임을 들어가게 된다면 무작정 기다리지 않고 MSW나 JSON-Server등을 활용해서 목데이터를 구성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프론트에서는 추후에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설명해야되는 면접 자리들도 생기기 때문에 사이트로 배포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netlify, vercel 등을 활용해보세요. 백엔드 서버는 계속 유지될 수 없습니다.(보안, 비용 등의 이유)
- 나중에 채팅이나 알람 기능을 구현한다면 미리 stomp.js 또는 socket.js, firebase에 대해서 선학습을 진행하시고, 만약 로그인 등 특히 막히는 부분들이 생긴다면, 우선순위를 달리해서 착수할 수 있는 부분부터 진행하는 부분도 이번 협업 과정을 통해서 익히시면 좋겠습니다.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주제 선정
- 구현하는 기술에 더욱 더 집중해서 프로젝트를 구성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이 취업하는 직종은 기획자가 아닙니다. 물론, 도움은 되겠지만 현재 지원하실 직종에 집중 하시기를 추천드려요.
- 꼭 필요한 기능과 부수적인 기능을 분리해서 판단하세요.
- 꼭 필요한 기능은 구현 후에 부수적인 기능은 시간에 따라서 구현할 수 있도록 준비하시는 전략도 좋습니다.
Daily Scrum
- 자주 진행해주시고, 슬랙 채널을 활발히 활용 해주세요.
- 여러분이 소통하고 같이 PR을 하고 서로 코드리뷰 하는 시간이 늘어나는 만큼 현업자와 가까운 소통방식을 배우게 되실 겁니다.
Development & code review